직장인 만성스트레스

리더십의 세대 차이, 왜 신입은 상사를 리더로 인정하지 않을까?

스트레스 타파 2025. 8. 5. 23:00

리더는 지시하는 사람인가, 함께 걷는 사람인가?

“일은 하라고 시켜놓고, 책임은 나한테 돌리네요.”
“저 친구는 왜 자꾸 리더 말을 무시하는 걸까?”

같은 팀, 같은 목표를 향해 일하지만
상사와 신입사원은 ‘리더십’에 대해 전혀 다르게 생각한다.

40대 이상은 **“경험으로 말하는 리더”**를 이상적으로 여기지만,
MZ세대는 **“소통하고 도와주는 리더”**를 기대한다.

이 차이는 사소한 불만으로 시작해
결국 퇴사 사유, 성과 부진, 관계 단절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번 글에서는 세대별 리더십에 대한 인식 차이와
그로 인한 갈등, 해결 방안을 구체적으로 정리한다.

리더십

상사 세대의 리더십 – “끌고 가는 게 리더다”

권위와 경험 기반의 리더십

  • 리더는 방향을 제시하고 결정하는 사람
  • 실무는 팀원에게 맡기되, 최종 판단은 자신이 내려야 한다
  • 부하 직원은 따르고 따라와야 효율적이라는 인식

💬 부장 인터뷰
“이 팀을 10년 끌어왔어요. 내가 뭘 몰라서 조언을 하나요?”

말보다 성과로 리더십을 증명해야 한다는 태도

  • “결과로 보여주는 게 리더”라는 신념
  • 감정 소통보다는 실적, 일 중심

팀워크의 본질은 “따름”

  • 수직 구조 하에서의 위계는 필수
  • ‘친한 리더’보다는 ‘존경받는 리더’가 목표

 

MZ세대 신입이 원하는 리더십 – “지시가 아니라 함께 해주는 사람”

수평적 관계에서의 리더십 기대

  • 팀장도 팀원 중 하나, 소통 가능한 파트너
  • 권위가 아닌 신뢰와 공감을 바탕으로 한 관계 선호
  • 실무를 주더라도 ‘왜’ 해야 하는지 설명이 중요

💬 신입사원 인터뷰
“내가 왜 이걸 하는지 모른 채 지시만 받고 일하면 진짜 로봇 된 기분이에요.”

코칭과 피드백 중심의 리더십 선호

  • 단순한 “하라”가 아니라
    “이렇게 해보면 더 좋을 것 같아” 같은 피드백형 리더십을 기대
  • 감정적 안정감을 주는 리더를 신뢰함

팀워크의 본질은 “함께함”

  • 상사와 나의 거리감이 너무 크면 심리적 불안정성 유발
  • 신입에게 ‘리더는 곧 태도’라는 인식이 강함

 

세대별 리더십 인식 비교

항목40대 이상 상사MZ세대 신입사원

리더의 역할 지시자, 방향 제시자 조력자, 멘토
관계 구조 수직, 위계 강조 수평, 상호 존중
소통 방식 명확한 명령, 결과 중심 맥락 설명, 감정 포함
신뢰 조건 경력, 직책 기반 공감, 피드백 중심
갈등 발생 지점 “말 안 듣는 신입” “듣기만 하라는 상사”

실제 사례로 보는 리더십 갈등

신입에게 “그냥 내가 시킨 대로 해”

→ 신입은 자신이 무시당했다는 감정,
→ 업무의 맥락 모른 채 반복되는 작업에 의욕 상실

팀장이 실적만 강조하며 결과만 요구

→ 신입은 “관리만 하고 도와주진 않는다”고 불만
→ 성과도 정서도 모두 하락

 리더가 업무 목적 + 방향 설명, 이후 실행은 자율성 부여

→ 신입은 “믿어주는 느낌”이라며 책임감 상승
→ 오히려 더 주도적으로 문제 해결

 

리더십 갈등, 어떻게 좁혀야 할까?

상사가 바꿀 수 있는 점

  • 지시형 → 설명형 리더십으로 전환
  • “이거 해” → “이렇게 하면 우리가 이 결과를 얻을 수 있어요”
  • 자율성을 주되, 중간 점검은 코칭 방식으로 접근
  • “넌 왜 이렇게 생각하니?”보다는
    “어떤 생각을 갖고 있니?”라고 묻는 대화 기술 필요

 

신입이 노력해야 할 점

  • 리더의 방식을 모두 부정하지 않기
  • 상사와 **‘리더십에 대한 기대 차이’**를 말로 풀어보는 연습
  • “이 방향이 왜 정해졌는지 설명해주시면 더 이해하기 쉬워요” 같은
    존중 섞인 피드백 표현 연습

 

조직이 해야 할 역할

  • 리더십 교육은 ‘직책자’만이 아니라 팀 전체 대상
  • 신입과 상사 간 ‘상호 기대 교환 워크숍’ 운영
  • ‘성과 중심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 제공’이
    함께 평가받는 복합 리더십 기준 도입

 

리더십은 시대마다 변한다, 문제는 받아들이는 속도다

어떤 세대에게 리더는 "말 잘하는 사람",
다른 세대에겐 "들어주는 사람"이다.

지금 조직에서 필요한 건
리더가 리더십을 다시 배우는 일,
그리고
신입도 상사에게 기대만 하기보다, 기대를 말로 전할 수 있는 용기다.

진짜 좋은 리더는
‘나를 따르라’는 사람이 아니라,
‘네가 더 잘할 수 있게 도울게’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
이다.